Published on

블록체인에 대하여

Authors
  • avatar
    Name
    황도연
    Twitter

Blockchain

블록체인은 분산형 데이터 저장 및 공유 시스템입니다. 블록체인은 블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블록은 이전 블록의 해시를 포합합니다. 이를 통해 블록체인은 변경이 불가능하고 투명한 시스템이 됩니다.

기존 거래 방식은 은행이 모든 거래 내역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은행이 중간 역할을 하여 거래를 안전하게 보장해야 했습니다. 블록체인은 이러한 중간 역할을 없애고, 모든 참여자가 거래 내역을 공유함으로써 안전하고 투명한 거래가 가능합니다.


특징

  • 변경이 매우 어려움: 블록체인은 각 블록이 이전 블록의 해시를 포함하기 때문에, 한 블록을 변경하려면 이전 블록의 해시도 변경해야 합니다.
  • 투명성: 모든 노드가 거래 내역을 공유하기 때문에, 누구나 거래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효율: 중간 역할이 없기 때문에, 거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보안: 블록체인 자체가 암호화되어 있기 때문에, 해킹위험이 적습니다.

용어 정리

  • 블록체인: 분산형 데이터 저장 및 공유 시스템
  • 블록: 블록체인에 저장되는 데이터 단위
    • 헤더: 블록의 정보를 포함하는 부분
    • 바디: 블록에 포함되는 거래 내역
    • 해시: 블록의 헤더 데이터를 암호화한 값
  • 채굴: 블록 생성하는 과정
  • bits: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난이도
  • nonce: 블록의 해시값이 난이도와 일치하도록 하는 임의의 값
  • 노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컴퓨터

블록이란?

거래 정보들의 집합이다.

"A가 B에게 10만원을 송금했다" 라는 정보들이 저장되는 곳이 블록이다.

보통 헤더, 거래 정보, 기타 정보 등으로 구성되어있다.

  • Header
    • Version: 프로토콜 버전
    • previous block hash: 이전 블록의 해시값
    • merkle hash: 개별 거래 정보의 해시를 2진 트리 형태로 구성할 때, 트리 루트에 위치하는 해시값, 블록의 트랜잭션 데이터의 해시값
    • time: 블록이 생성된 시간
    • bits: 난이도 값
    • nonce: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임의의 값
  • Body(거래 정보) - 블록의 body 에는 아래의 거래 내역이 연속적으로 기록됩니다.
    • 송신자 주소: 거래를 시작하는 사람의 주소
    • 수신자 주소: 거래를 받는 사람의 주소
    • 거래 금액: 거래되는 금액
    • 거래 메모: 거래에 대한 추가 정보
  • 기타 정보: 블록 내에 있는 정보 중에서 블록 헤더와 거래 정보에 해당하지 않는 정보, 해시 계산에 사용되지 않는다.

블록 헤더가 중요한 이유는 블록의 식별자 역할을 하는 블록 해시가 이 블록 헤더의 6가지 정보를 입력값으로 해서 구해지기 떼문이다.